부탁을 요청하는 다양한 표현에 대해서 정리한 내용이다.
I need you to do something for me. 네가 좀 해줘야할게 있어
이건 상대방에게 요청 또는 상대방의 의도를 묻는다기 보다는 내가 필요해 라는 요구의 느낌이 있다.
I need you to [####] 의 형태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I need you to sign here : 여기 서명을 해주세요
I need you to finish this report by 5 PM.: 이 보고서 5시까지 끝내줘...(약간 상사가 지시하는 느낌...)
I need you to take care of my cat this weekend.: 이번 주말에 고양이좀 봐줬으면 해.
이건 단순히 나의 요구를 들어달라는 요구 같은 느낌이고, 뭔가 바램 같은 느낌을 추가하고 싶다면?
I hope/wish (that) 주어 + 동사 + ... 의 형태를 활용할 수 있다.
I hope (that) you can help me.
당신이 나를 돕기를 바란다 라는 의미로, that 뒤의 주절이 현재/미래 형의 동사 또는 조동사가 주로 사용된다.
I wish (that) you were here.
니가 여기 있었으면 좋을텐데...라는 의미로 that뒤의 주절이 현재/과거의 형태로 주로 사용된다.
이건 hope와 wish의 특성으로,
hope는 ~을 가지고 싶다등 약간 미래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루어 지면 좋겠다 하는 소망의 느낌을 표현
wish는 ~했었으면 좋았을 텐데 라는 약간의 아쉬움? 같은 느낌을 표현한다고 한다.
Could you guys keep it down a little? 좀 조용히 해주시겠어요?
앞에 could를 can/would로 바꿈에 따라 격식이나 정중함의 강도를 바꿀 수 있다.
Would you mind if ~ ? 의 형태로 mind 신경쓰이다라는 의미로 ~을 하면 신경쓰일까요? 라는 느낌이다.
Would you mind if I opened the window? : 창문열면 신경쓰일까요? 괜찮을까요?
Would you mind if we changed our meeting time to 3 PM? 미팅 일정 3시로 바꿔면 신경쓰일까요? 괜찮을까요?
Would you mind if I borrowed your pen for a minute?: 펜을 빌리면 신경쓰일까요? 괜찮을까요?
Do you mind if I use your bathroom? 너의 화장실을 쓰면 신경쓰일까? = 화장실 써도 되겠습니까?
보통 can/could/would로 격식이나 예의의 강도를 구분하지만 mind의 경우는 can/could의 사용은 어색하다고 한다.
mind 명사로는 마음, 정신, 마음가짐등의 의미가 있지만, 동사로는 신경쓰다, 꺼리다, 싫어하다라는 의미다.
그래서 Can/Could you mind ~는 ~하면 당신을 신경쓰일 수 있냐? 는 어색한 문장이 된다고 한다.
I'm begging you! 내가 이렇게 빌게!.
beg는 빌다, 구걸하다른 의미미로, 약간 울고불고 진상(?)의 느낌으로 간절하게 뭔가를 요청할 때?
애원의 느낌이라고 볼 수 있다고 한다.
I'm begging you as a friend. 친구로써 부탁할께..
He's begging me for help. 걔(남자)가 도와달라고 빌고 있어.
약간 이렇게 절박하게 애원하는 느낌이라고 한다.
She's badly hurt! Please, Doctor, I'm begging you! Save her!
그녀가 심하게 다쳤다. 제발 , 선생님...제발좀 살려주세요...라고 애원하는 느낌?
오늘의 학습일기는 여기까지...
'일상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일기] 리얼클래스_55 일차_타일러X진짜 초보 필수 표현_10 (1) | 2025.05.26 |
---|---|
[학습일기] 리얼클래스_54 일차_타일러X진짜 초보 필수 표현_9 (1) | 2025.05.26 |
[학습일기] 리얼클래스_52 일차_타일러X진짜 초보 필수 표현_7 (0) | 2025.05.22 |
[학습일기] 리얼클래스_51 일차_타일러X진짜 초보 필수 표현_6 (3) | 2025.05.21 |
[학습일기] 리얼클래스_50 일차_타일러X진짜 초보 필수 표현_5 (1)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