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기록

[학습일기] 리얼클래스_102일차_타일러X쿵푸팬더_25

임씨아제 2025. 7. 11. 09:39

Face it. 현실을 직시해요!

Face는 명사로 얼굴을 의미하지만, 종종 표면을 의미하기도 한다.
동사로써는 ~을 마주보다(향하다), 직면하다(닥쳐오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동사가 앞으로 나와서 약간 명령어조의 느낌으로 it(현실)을 직시해라 라는 느낌으로,
뭔가 지금 마주한 사실에 대해서 현실적으로 바라보라는 느낌으로 사용되는 표현이다. 

비슷한 표현으로는 Get real! 인데, 직역하면 현실을 얻어라 > 꿈깨라...이런의미로 사용된다.
Face it은 뭔가 현실적으로 문제를 직면하라는 느낌이라면, Get real은 뭔거 허황된 망상이나,
자신만의 상상에서 깨어나라는 의미로 사용된다고 한다.

Today's Tip!
eye (something) up은 ~을 유심히 보다, 평가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You're eying it up. 너는 it을 유심시 살펴보고 있구나.
Why don't you eye it up first. : Why don't you는 ~하는 것이 어때라는 느낌으로 자주
사용되는 표현으로 먼저 잘 살펴보는게 어때? 라는 표현이다. 
The director is watching the play. 이건 디렉터가 공연을 관람하는 느낌이라면,
The director is eying up the lead actor's performance. : 이건 주연 배우의 연기를 
유심히 살펴 본다는 느낌으로 목적은 주연배우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A scout is eying up a new player. 스카우터가 신인선수를 유심히 살펴본다는 의미인데,
결국 목적은 선수를 영입하기 위해서 그 선수의 가치를 평가하고 유심시 살펴본다는 의미다.

이렇게 eye (something) up은 ~을 유심시 살펴보며 그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핵심이다.

Good to have you back. 돌아와서 기쁘구나..

Good to ~는 ~하니 좋다라는 표현이다. 
Good to see you. 너를 봐서 좋다.

비슷한 표현으로는 pleasure to ~으로
It's a pleasure to have you back. : 니가 돌아와서 기쁘다.라고 좀더 격식(formal)있는 표현.

두 표현의 차이점은 good/pleasure의 품사가 다르다.
good은 형용사로 좋은, 즐거운, 기쁜, 다행스러운의 의미가 있고, 명사로는 착한, 좋은 이다.
pleasure는 명사로 기쁨/즐거움 이라는 의미가 있다.

중요한 것은 Good to have you back의 원래 문장은
It is good to have you back이다. It's 가 생략되었지만, good은 형용사로써,
to have you back 너를 다시 have(가지다는 만나다라는 의미도 됨)해서 good기쁘다...
라는 의미가 된다. 즉 형용사이기에 그 앞에 주어와 동사가 생략되어 있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알아 차릴 수가 있다고 한다. (난 모르겠지만...)

pleasure는 명사이고, 명사는 주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Pleasure to have you back.이라고만 하면, 당연히 명사는 주어의 역할을 할 수 있으니,
pleasure뒤에는 동사가 와야 하는데? 동사가 없다...그럼 주어가 아닌데?
명사니 당연히 명령문일리는 없고, 주어 동사가 뭐지? it's인가? 라고 추측을 해야 한다.

그래서 good/pleasure의 품사가 다르기에 문장구성에 차이점이 있다 라는 점이 있고,
good과 pleasure의 표현이 주는 바로 느낌의 차이이다.

가령 같은 회사 직원이 출근중 불의의 사고를 당했다가 완치를 하고 돌아 왔다.
It's a pleasure to have yo here. 돌아와서 다행/기쁨입니다.
오랬동안 못보던 친구가 집에 놀러 왔다?
Good to have you here. 네가 와서 좋아!

이렇게 pleasure는 사회적으로 다듬어진 표현으로, 격식이 필요한 공적인 자리에서 
어울리는 표현이고, good은 좀더 캐주얼한 상황에 더 어울리는 표현이라고 한다.

Todays Tips!
I hate to say it. 나는 그것을 말하는 걸 증오/질색한다..인데 말하고 싶지 않지만,
인정하고 싶지만 이라는 표현으로 주로 사용하는 표현이라고 한다.

I hate to say it, but she did a good job. 인정하기 싫지만 걔(그녀)가 진짜 잘했어.

위와 같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오늘의 학습일기는 여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