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일기] 리얼클래스_75일차_타일러X진짜 초보 필수 표현_30
Just holler if you need anything. 필요하면 불러요!
Holler는 소리 지르다, 고함치다라는 의미로, Yell, scream과 비슷할 수 있지만
Yell은 누군가 혼내거나 윽박을 지르는 느낌이고, scream은 공포에 질려서 비명을 지르는 느낌에 가깝다. 따라서 누군가를 부르기 위해 소리를 치는 느낌으로 사용할 때는 Holler가 더 적절하다.
If you need anything, just holler. : 필요한 거 있으면 소리쳐
If you need anything, just call. : 필요한 거 있으며 불러.
That’s what I call a bargain! 너무 잘 샀다.
Bargain은 남는 장사, 싸게 잘 산것을 뜻하는 단어이다.
한국에서는 바겐세일이라고 붙여서 쓰지만, Bargain자체가 세일하는 물건 중에서 잘산…득템한…이란 뜻이 있다.
Now, that’s what I call ~! : 바로 ~거지!!
It was such a bargain. : 그거 특템 했어.
The plane tickets were a bargain. : 항공권 득템 했어
I’m hunting for a bargain. : hunting for는 쇼핑에서 ~을 찾아서 헤매다라는 표현으로 특템할 만한거 찾고 잇다는 의미…
I would like to hunt for bargains when I go shopping. : 쇼핑갈 때 득템하고 싶어
한국어에서는 의외로 동어반복이 자주 나타난다.
보통 역전 앞에서 만나라고 말을 하는데, 역전 자체가 역 앞이라는 뜻이다.
해변가도 해변 자체가 바닷가가 되는데…해변가라고 해서 바닷가가가 된다…;;
그래도 한국어는 그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영어에서는 어색한 표현이라고 한다.
바겐세일이 그렇다. 이미 세일은 저렴한 가격에 물건을 판다는 의미고,
바겐은 저렴한 가격에 득템을 했다라는 의미가 된다. 그래서 중복되어 어색한 표현이라고…;;
It’s against store policy. 그건 안 돼요.
Store policy는 가게 규정을 의미한다.
It’s against ~ 는 ~에 어긋나는 일이다 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고객이 요구할 때 그 요구를 거부할 때 흔히 사용하는 표현이다.
We can’t do that. It’s a store policy. : 그렇게 해줄 수 없어요. 가게 규정이에요.
It’s against the law. : 그건 법에 위배되요.
It’s against my principles. : 제 원칙에 어긋나요.
A: Can I return this dress? (이 드레스 환불 할 수 있을까요?)
B: It’s against store policy to accept returns after 30 days. (30일이 지난 후에는 환불을 접수할 수 없다는 것이 가게 규정입니다.)
오늘의 학습일기는 여기까지